1. 이군우 작가 소개
이군우 작가님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대학원에서 동양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셨습니다.
홍익대학교(학부 실기), 고려대학교(학부 이론), 숙명여자대학교(학부 실기, 대학원 실기), 전남대학교 등 수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신 교육자이기도 하십니다.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을 역임하기도 하였고, 물론 개인전 및 단체전을 국 내외에서 꾸준히 하고 계십니다.
대표적인 전시 이력으로는 프랑스 엑스 국제미술 살롱전, 요르단 시립미술관 아라비아전, 파리 가람아트 미술전 등이 있습니다.
현재는 춘추회, 아트2021의 회장이시며 코리아 아트페스타 운영위원, K-art M 연구소의 대표를 도맡고 계십니다.
작품 활동에만 매진하는 작가가 좋은 작가가 아닌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현대 미술에서 작가의 활동은 곧 작품의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군우 작가님처럼 다양한 활동을 하시는 작가님에게 관심을 가져보는 것은 투자 관점에서도 아주 좋습니다.
2. 작품 배경 및 특징
'사군자'에 대해서는 학창 시절 공부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사군자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네 가지 식물을 일컫는 말로 고결함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매화는 이른 봄의 추위를 무릅쓰고 제일 먼저 꽃을 피운다
난초는 깊은 산중에서 은은한 향기를 멀리까지 퍼뜨린다.
국화는 늦은 가을에 첫추위를 이겨내며 핀다.
대나무는 모든 식물의 잎이 떨어진 추운 겨울에도 푸른 잎을 계속 유지한다
각 식물 특유의 장점을 군자, 즉 덕과 학식을 갖춘 사람의 인품에 비유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시와 그림에 소재로 종종 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이군우 작가의 작품의 키워드는 바로 사군자입니다. 사군자 중에서도 '매화'를 소재로 한 작품이 많아 '매화 작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군우 작가의 매화 사랑은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 경남 밀양에서의 기억 속에서 시작됩니다.
작가는 매년 봄이 되면 매화를 찾아 전국을 다니면서 즉흥적으로 드로잉을 하기도 하고,
작품 속 이미지에 부합하는 매화를 만나면 그 모습 그대로 화판에 담습니다.
동양화가 이군우 작가는 그림을 통해 그 시절 사대부들의 절개와 고결한 정신을 진채화를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전통과 현대의 공존을 꾀합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동양 철학인 사대부들의 정신세계를 화폭에 담지만,
새로운 재료에 대한 탐구, 작품의 보존을 놓치지 않기 위한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등장한 것이 바로 '야광안료'입니다.
한국에서 잘 사용하지 않은 야광안료를 파격적으로 동양화에 사용함으로 마침내 창의성과 개성을 드러냅니다.
3. 작품 소개
아래는 제가 소장하고 있는 이군우 작가님의 작품입니다.
이군우 작가의 작품은 진채화이며 배경은 몰골법으로 화면을 처리하고, 주제는 구륵법으로 표현합니다. (하단에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여백의 미가 강조되는 한국화 기법과 반대로 이군우 작가의 작품 속 배경은 가득 차 있습니다.
그리고 불을 끄면 완전히 다른 모습이 나타나는 매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군우 작가 작품을 표현할 때 '낮과 밤의 매화'라고도 합니다.
야광의 성질은 빛을 머금고 있다가 어두워졌을 때 빛을 분출합니다.
야광의 유지 기간은 덧칠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오랜 시간 빛을 볼 수 있도록 3~4번 덧칠을 통해 작품을 완성합니다.
어둠 속에서 빛이 나는 야광 재료의 특성 때문에 작가는 불을 끈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는데,
엄청난 노고와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 방식입니다.
그 덕분에 우리는 하나의 작품으로 낮과 밤, 시간대에 따라 다른 감상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기 위한 준비(매년 봄 매화를 찾아다니는 순간)부터 마무리까지의 과정은
여러 번의 반복작업과 노동 시간의 결과를 통해 완성됩니다.
이군우 작가는 "똑같은 장미를 보고도 사람마다 호불호가 갈린다. 나의 철학을 담아낸 결과물은 의미를 전달하디보다는 각자 추억을 회상하고 마음으로 자신만의 정답을 찾아가는 여정이기를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4. 그림 투자 노하우
이군우 작가의 작품을 어디에선가 본 적이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2019년 슬기로운 의사생활 드라마에도 작품이 출연하였고,
2022년 SBS아이돌 사생대회에서는 이군우 작가님이 콜라보 작가로 출연하였습니다.
또한 서울대병원 복도에서도 이군우 작가님의 그림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동양화는 서양 컬렉터들이 신비로워하고 좋아하지만, 정작 한국인들에게는 지루하거나 구식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군우 작가의 작품은 진한 색채와 야광원료의 조합으로 MZ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이군우 작가의 작품은 호당 50만 원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작품의 크기가 다양하여 1천만 원-5천만 원 정도로 작품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 갤러리케이(갤러리 K)의 이달의 작가로 선정되어, 갤러리케이를 통해 구매하시면 증정품(판화)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군우 작가 작품 구매에 관하여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5. 미술 이론
이군우 작가의 작품은 진채화이며 배경은 몰골법으로 화면을 처리하고, 주제는 구륵법으로 표현합니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일까요?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륵법: 형태의 윤곽을 먼저 선으로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칠하여 표현하는 화법
몰골법: 윤곽선이 없이 색채나 수목을 사용하여 형태를 그리는 화법
진채화: 진채로 그린 그림 / 진채: 진하고 강하게 쓰는 색채
이렇게 용어를 알고 나서 그림을 다시 보니 이해가 됩니다.
이렇듯 미술은 아는 만큼 보이기 때문에 미술용어나 미술사에 대한 공부를 하는 것도 그림 투자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작가 및 전시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장칠 미술 작가 스크래치 기법 (0) | 2023.01.22 |
---|---|
오만철 작가 도자 예술과 회화를 접목한 개척자 (0) | 2023.01.22 |
배진현 미술 작가 반 추상 주의 작품 (0) | 2023.01.21 |
김유준 미술 작가 <근원적 이야기들의 순환> (0) | 2023.01.19 |
국내 미술 금사홍 작가 음양의 조화가 표현된 작품세계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