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가 및 전시 소개

선으로 삶을 표현하는 다니엘 신 작가

by artdealer.yang 2023. 4. 10.
728x90
반응형

1. 다니엘 신 작가 소개

다니엘 신 작가는 1992년에 대전에서 출생하였습니다.

세종대학교 회화과 서양화를 전공하였고, 졸업 후 2012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한 활동을 하고 있는 기대주입니다.

요즘 핫한 미술 예능 프로그램인 <노머니 노아트>에도 출연할 예정입니다.

라인업에 있으나 정확한 출현 날짜는 아직 미정입니다.

 

다니엘 신 작가의 본명은 신헌도입니다.

다니엘 이라는 영어 이름은 미국에서 근무할 당시 사용했던 이름입니다.

작가는 2018-2020년에는 Leftbank Art in LA 미국 본사의 핸드페인팅 부서에서 아티스트로 근무한 이력이 있는데

당시 미국 생활을 회고하며 열심히 일하였으나 본인의 이름을 건 작품을 남길 수 없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 컸고

귀국하여 작가 생활에만 전념할 것을 다짐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그 때의 마음을 되새기기 위하여 본명 대신 '다니엘'이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니엘 신 작가의 공식 홈페이지에 방문하시면 연도별로 정리된 작가의 작품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danielshin.kr/PAINTING

 

다니엘 신 포트폴리오

아티스트 다니엘 신 CV 및 포트폴리오 소개 사이트 입니다. 작업 노트 및 작품, 드로잉, 영상, 외주 작업들을 편하게 구경 하실 수 있습니다.

danielshin.kr

2. 작품 배경 및 특징

다니엘 작가는 선으로 삶을 표현하는 작가입니다.

 

삶,

왜 살아가야하고 죽으면 안되는지

삶은 무엇이고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다니엘 신 작가는 삶에 대한 의구심과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궁금증을 그림을 통해 찾아가고 있습니다.

 

선,

다니엘 신 작가는 패턴 작물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체크 패턴이 수직과 수평으로 교차하고, 서로 다른 색과 서로 다른 선이 어우러지는 모습이 우리가 사는 세상과 닮아 있습니다.

체크라는 패턴을 이루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요소가 없습니다.
나의 삶 조차도 그러하기를 바라고
많은 사람들도 의미있고 가치 있는 삶을 살기를 전하고자 작업화 하였습니다.

다니엘 신 작가의 '패턴'은 시각적인 반복이기도 하고, 행위의 반복으로서 강조의 기능을 하기도 합니다.

다니엘 신 <Untitled 04> 2021, Wood frame and Acrylic on canvas 53.0x83.0cm 2021 플리옥션 아트페어 전시 @다니엘신 공식홈페이지 출처

그러나 '체크'를 소재로만 작품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니엘 신 작가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2021년까지의 작품은 체크를 소재로 한 도상이 대부분이지만, 2022년부터는 점, 선, 면을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가장 최신 작품은 입체감이 더해져서 또 새로운 느낌이 듭니다.

한 그림을 장인처럼 발전시켜 나간 작가가 존재하는 한편
시대와 시간을 반영한 작가가 있듯이
저도 제가 살아온 그때의 시간을 담아내고 싶습니다 

이러한 다니엘 신 작가의 생각에 대하여 콜렉터들 사이에서는 호불호가 나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항상 새로운 시리즈를 선보이는 다니엘 신 작가의 행보가 기대되고 궁금하고 또 응원하게 됩니다.

 

3. 전시 소개

현재 다니엘 신 작가의 작품이 <이상한 나라의 괴짜들>에서 전시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의 신작 시리즈인 <행복한 지옥> 시리즈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한 나라의 괴짜들>은 압구정 K현대미술관에서 하고 있는 전시로, 80여명의 국내 작가들과 총 1050점의 작품이 참여하였습니다.

 

전시명: 이상한 나라의 괴짜들

일정: 2023.04.08.(토) ~ 2023.10.08.(일)

시간: 10시-19시 (입장 마감 오후 6시 10분.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K현대미술관

주소: 서울 강남구 선릉로 807 K현대미술관

K현대미술관에 전시된 다니엘 신 작가의 <행복한 지옥> 시리즈@출처 다니엘 신 작가 인스타그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