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유준 작가 소개
김유준 작가님은 홍익대학교와 대학원에서 미술대학 회화학과를 전공하셨습니다.
2012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학과에서 겸임교수를 지내기도 하셨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미술대전, 경기미술대전, 겸재진경미술대전 등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을 역임하신 이력이 있습니다.
1995년 제1회 한국일보 청년작가초대전 우수상, 1984년 한국현대 판화 공모전 우수상, 2019년 한국예총경기도연합회 경기예술대상을 수상한 검증된 작가입니다.
2010년 표갤러리사우스 (서울) 개인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전시 활동을 하였으며, 대구아트페어, 부산아트페어, 광주아트페어, 성남아트페어 등 각종 아트페어에 활발하게 참가하고 있는 작가입니다.
특히 2022년 강남구 세텍(SETEC)에서 개막한 키아프 서울 (Kiaf Seoul/한국국제아트페어)에 참가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키아프에 대한 소개는 하단에 따로 적도록 하겠습니다.
2. 작품 배경 및 특징
김유준 작가는 한 인터뷰에서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체질적으로 제도를 싫어하며 특히 작업에 있어서 합리적인 것을 싫어합니다. 인간이 이성의 잣대로 자연을 해석하고 인과율의 법칙을 파악했다지만 실제로 나아진게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인간이 달을 정복한 순간 우리는 달에 대한 꿈과 정서를 상실해 버렸고, 이제 자연은 우리를 저버리고 있습니다.
인간 스스로 자연의 일부분이라 했으나 이제 우리가 주인임을 자처하면서
인간화된 자연을 보고 놀라는 것이 아이러니하지 않나요?"
즉, 제도와 합리화가 우리로 하여금 병들게 하고 자연을 파괴하는 원인이라는 것입니다.
각종 자연재해로 인해 자연을 보호하고 살리는 것에 대한 생각이 많아지는 요즘입니다.
김유준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근본적인 자연이란 무엇인지, 우리 인간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겠습니다.
김유준 작가의 그림은 단순해보입니다. 그러나 그 안에는 작가의 철학이 들어있고, 보는 이로 하여금 사색에 잠기게 하는 매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미니멀리즘을 좋아하시는 분들 중 김유준 작가의 그림을 소장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실, 볼 때마다 사색에 잠기게 하고 마음을 편하게 하는 작품이라 저도 한 작품 소장하고 있습니다.
3. 작품 소개
김유준 작가는 우주의 근본이 되는 하늘, 땅, 사람을 기본으로 항상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듭니다.
"하늘은 둥글도 땅은 모나다"라는 우주관을 반영하여
사각형의 캔버스는 땅, 그리고 그 안에 그려진 원은 하늘을 상징합니다.
작품마다 소나무, 비, 불상, 별자리와 같은 한국적인 요소를 넣어 우주의 근본을 담습니다.
꼭 한국적인 것만 넣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소장하고 있는 <나의하늘이야기20-15>의 경우 모자를 쓴 신사가 등장하기도 합니다.
4. 그림 투자 노하우
김유준 작가의 작품은 호당 가격 50만원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작품 크기에 따라 2천만원-5천만원 선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김유준 작가는 현재 갤러리케이 전속 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갤러리케이에서 김유준 작가의 작품을 구매 혹은 렌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전시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작가이기 때문에 아트페어나 전시회에서 구매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동양 철학을 담고 있지만 현대적이고 미니멀한 화풍으로 작업을 하시기 때문에 MZ세대에게도 인기가 많은 작품입니다.
5. 미술 상식
키아프 서울은 2002년에 개장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아트페어입니다.
2002년 월드컵의 효과로 서울이 주목받으며, 서울을 세계적인 예술 도시로 만들기 위해 시작된 아트페어입니다.
이후 서울이 세계적인 도시로 급성장하고 한국의 문화예술이 주목받으며 그에 따라 키아프 서울도 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20년의 역사를 지닌 키아프 서울은 한국 미술시장과 세계 미술시장을 잇는 가교 역학을 하며 전통과 현대미술을 한 자리에서 선보였습니다. 지난 2022년에는 키아프와 프리즈가 공동 개최를 하며 많은 아트러버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작가 및 전시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장칠 미술 작가 스크래치 기법 (0) | 2023.01.22 |
---|---|
오만철 작가 도자 예술과 회화를 접목한 개척자 (0) | 2023.01.22 |
배진현 미술 작가 반 추상 주의 작품 (0) | 2023.01.21 |
이군우 미술 작가 낮과 밤의 매화 (0) | 2023.01.20 |
국내 미술 금사홍 작가 음양의 조화가 표현된 작품세계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