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가 및 전시 소개

국내 미술 금사홍 작가 음양의 조화가 표현된 작품세계

by artdealer.yang 2023. 1. 17.
728x90
반응형

1. 금사홍 작가 소개

금사홍작가 @사진 출처: 갤러리K

금사홍(Gum SaHong) 작가님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학과,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을 졸업하셨습니다.

현재는 한국미술협회 회원이자 조형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1990년 도올 갤러리 개인전을 시작으로 개인전 및 단체전시를 꾸준히 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입니다.

2022년에는 문래 갤러리 아트필드 초대전(서울)과 양평 카포레 갤러리 초대전(양평) 전시를 열었습니다.

또한 2022년 9월 20일부터 총 4부작으로 제작된 <아이돌 사생대회>에서 멘토를 맡기도 하셨습니다.

 

아이돌 사생대회는 아이돌 팀이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활용하여 하나의 작품을 준비하고, 멘토를 통해 작품으로 완성해 가는 과정을 담은 리얼리티쇼로 남산 갤러리에서 전시를 하여 주목을 받았으며, 완성된 작품 판매로 인한 수익금은 그림을 그린 아이돌의 이름으로 기부를 한 뜻깊은 행사입니다.

2. 작품 배경 및 특징

금사홍 작가의 작품 속 화두는 동양 철학의 전일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로부터 동양 문화권에는 자아의 개별적 주관성보다 세계와 어우러지는 전일성 혹은 합일성이 더 중시되었습니다.

즉,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개인, 자연 속에서의 인간이 중요했던 것입니다.

이런 생각의 근원을 불교사상과 노자, 장자, 그리고 유가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금가홍 작가의 작품 역시 개체가 곧 전체가 되는 과정이며,

전체에 대한 인식 속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개체의 합을 나타냅니다. 

 

금사홍 작가는 인터뷰에서 겸재 정선(1676-1759,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의 천지인, 즉 땅과 자연 그리고 그에 깃들인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묘사하는 방식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있습니다.

진경산수는 우주와 인간, 산수자연과 인간이 공존한다는 옛 조상들의 우주관과 자연관을 토대로 형성되었는데, 자연과의 합일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으므로, 금사홍 작가 본인은 옛 조상들의 진경작품을 차용하여 작업한 적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금사홍 작가는 본질을 추구합니다.

여기서 본질은 자기 자신도 포함이 되지만, 자연의 본질, 자연이 섭리에 관한 것이기도 합니다.

이런 배경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작품을 보시면 또 다른 감상을 하실 수 있을겁니다.

3. 작품 소개

금사홍 작가의 작품에는 금색과 은색 동그라미가 자주 등장합니다.

 

재미있는 일화로 어떤 어린이가 갤러리에서 금사홍 작가의 작품을 보고서

"이름에 '금'이라는 글자가 들어가서 금색 동그라미를 그리나 봐요!"라고 이야기하여 주변 사람들을 웃음 짓게 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작품에 있는 금색과 은색 동그라미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흔히 음양의 조화에서 해는 양, 달은 음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원리로 들숨과 날숨, 앞과 뒤로 나누는 것 역시 음양의 조화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사홍 작가의 작업은 독특하게 진행됩니다.

대부분의 작가는 작품의 앞면을 결정하고 앞면에 작품 활동을 합니다.

그러나 금사홍 작가는 앞뒤를 따로 정하지 않고 '광목천'에 작품 활동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광목천에 물감이 스며드는 것을 보고 앞뒤를 결정합니다. 

앞뒤가 결정되면 뒷면을 깔끔하게 흰 아크릴 물감으로 지워버립니다.

작품의 앞뒤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작가가 추구하는 음양의 조화가 화폭에 이렇게 작품에 묻어나는 것입니다.

 

4. 그림 투자 노하우

금사홍 작가는 현재 갤러리케이(갤러리 K) 전속 작가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따라서 갤러리케이를 통하여 금사홍 작가님의 작품을 구매하거나, 혹은 렌탈할 수 있습니다.

금사홍 작가 작품 가격은 1호당 50만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00호 5천만 원, 40호 2천만 원 정도 작품 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갤러리케이 홈페이지 혹은 저에게 댓글로 문의하시면 답변드릴 수 있습니다.

 

더불어 1호, 2호 할 때 호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한국만의 개념인지 아니면 국제 표준인지 등 '호'에 대한 설명은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